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조달계약 M/WBE<소수계·여성 소유기업> 배정 6% 불과

뉴욕시가 소수계·여성 소유기업(M/WBE)을 지원하기 위해 조달계약을 늘리겠다고 수차례 강조했지만, 여전히 전체 조달계약 중 M/WBE와 맺은 계약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안 여성이 소유한 M/WBE와 맺은 조달계약은 특히 비중이 적었다.     17일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원장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는 2023~2024회계연도에 총 346억 달러 규모의 신규 조달계약과 구매주문을 했는데, 그중 M/WBE와 맺은 계약은 6%에 그쳤다. 직전해(5%) 비중보다는 소폭 늘긴 했지만, 뉴욕시에서 M/WBE 인증을 받은 기업이 총 1만1000개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다. 또한 금액으로 따져보면, M/WBE와 뉴욕시가 맺은 조달계약 금액은 21억 달러로, 오히려 2021~2022회계연도 당시(24억 달러)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M/WBE 인증을 받은 기업들 사이에서도 인종별 격차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히스패닉 여성, 흑인 소유 기업이 시정부와 맺은 조달계약을 집계해 보면 전체 조달계약의 2%에도 못 미친다고 시 감사원은 설명했다. 여성 오너를 둔 사업체만 집계해 봤을 경우, 총 조달계약의 6%만 차지하는 데 그쳤으며 금액 기준으로 보면 총 계약의 3%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M/WBE 인증이 없는 일반 기업과 시정부의 조달계약은 평균 계약금액이 300만 달러 수준이었던 것에 반해, M/WBE 인증이 있는 소수계 기업의 평균 계약금액은 46만6000달러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같은 현상은 시정부 조달계약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시 환경국(DEP), 디자인·건설국(DDC), 교육국(DOE) 등의 계약이 백인, 남성이 소유한 기업이 주로 운영하는 사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M/WBE 인증 기업은 일부 케이터링이나 의복 납품 등 소소한 계약만 따 가는 것이 관행적이다.     시 감사원은 “M/WBE 인증을 줄 때부터 소수계 기업이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계약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M/WBE 인증 기업이 조달계약 정보에 더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조달계약 소유기업 뉴욕시 조달계약 여성 소유기업 시정부 조달계약

2025-02-17

뉴욕시 MWBE(소수계·여성 소유기업) 조달계약 두 배로 늘린다

뉴욕시가 소수계·여성 소유기업(MWBE: minority and women owned businesses)과의 조달계약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대폭 늘리기로 했다.   뉴욕시는 7일 시정부 사업을 위해 민간회사들과 계약을 맺을 때 그동안 소외받던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의 참여를 매년 2배씩 늘려 오는 2030년까지 총 600억 달러 규모의 계약 금액(누적액 기준)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뉴욕시가 새로운 계획을 발표한 것은 그동안 시정부 조달계약에서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낮다는 비판을 들어왔기 때문이다.   지난해 뉴욕시는 시정부 사업을 위해 민간회사들과 총 446억 달러 규모의 조달계약을 맺었는데 전체 계약금의 5% 정도인 23억 달러만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에 배정됐다. 뉴욕시 인구에서 소수계와 여성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부에서는 뉴욕시가 조달계약을 맺을 때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을 우선적으로 배려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낙찰률이 현저히 떨어져 소수계·여성 소유기업 자격증(certification)이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 지난 2022년 6월 30일 기준으로 뉴욕시에는 1만768개의 자격증을 가진 소수계·여성 소유기업(certified MWBE)이 등록돼 있는데, 이들 중에 사업 지속을 위해 자격증을 갱신한 사업체 비율은 17%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2020년부터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의 피해가 엘름허스트나 사우스브롱스 등 이민자 밀집지역에 집중돼 있어 뉴욕시 조달계약에서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의 참여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한편 뉴욕시 사업다양화사업부 마이클 가너 책임관은 "소수계·여성 소유기업은 뉴욕시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동력 중의 하나"라며 "이들 사업체들이 어떻게 자격증을 받고, 조달시장에 참여하고, 사업을 진행하는지 등에 대한 멘토십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소유기업 조달계약 여성 소유기업 뉴욕시 조달계약 조달계약 규모

2023-06-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